서울시, 초등생 유괴미수 정황에 '휴대용 안심벨' 보급

2025-05-08 15:14
 최근 서울 강남 지역 초등학교 인근에서 발생한 유괴 미수 의심 사건이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초등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휴대용 안심벨'을 도입하고, 경찰은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 위한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시는 5월 8일, 시내 606개 초등학교 중 83%에 해당하는 500개교가 '초등학생 휴대용 안심벨'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 장치는 위급 상황 시 100데시벨 이상의 경고음을 울려 주변에 긴급 상황을 알리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안심벨은 서울시 대표 캐릭터 '해치&소울프렌즈'를 활용한 디자인으로, 흰색과 연두색 두 종류로 제작되었다. 배터리 교체형으로, 위급 상황에서만 사용할 경우 최대 1년간 사용이 가능하다.

 

시는 신청한 학교들을 대상으로 9만3,797개의 안심벨을 5월 7일부터 순차적으로 배송 및 배부하고 있다. 이번 배부는 각 학교의 1·2학년 학생 수를 기준으로 하며, 고장이나 분실, 전학생 발생 등에 대비해 여유분도 포함되었다. 1차 신청에 참여하지 못한 학교를 위해 5월 12일부터 16일까지 2차 추가 신청을 받으며, 향후 잔여 물량이 발생할 경우 3학년 학생들에게도 배부를 검토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2월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사건에 이어 최근 강남구 소재 초등학교 인근에서 유괴 미수 의심 신고가 연달아 접수되면서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특히 빌라 밀집 지역이나 통학 시간이 길어 통학 안전 지도가 어려운 학교를 중심으로 신청이 활발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4월 16일, 강남구 개포동의 한 초등학교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한 노인이 초등학교 2학년 남학생의 가방끈을 잡는 사건이 발생했다. 학생은 이를 뿌리치고 도망쳤으며, 부모의 신고를 받은 경찰은 인근 CCTV 영상을 분석해 노인의 행방을 추적 중이다. 

 

또한 같은 날 오후 6시 20분경, 강남구 역삼동의 한 초등학교 맞은편 대형마트 인근에서 남성 2명이 초등학교 2학년 남학생에게 "음료수 사줄까"라고 접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학생이 이를 거부하자 남성들은 자리를 떠났으며, 학교 측은 경찰에 순찰 강화를 요청하고, 학부모들에게 낯선 사람과의 접촉을 주의하라는 가정통신문을 발송했다.

 

이러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일부 학부모들은 학교에 외부인 출입을 제한해달라는 요청을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신청 개시 이후 많은 초등학교에서 신청해주셔서 아이들의 안전에 대한 걱정과 우려를 읽을 수 있었다"며 "학교와 가정에서는 꾸준히 사용법을 지도해주시고 주변에서 경고음이 들릴 경우 긴급 상황일 수 있는 만큼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서울시는 학생들에게 안심벨 지급 시 비상시 사용법과 주의 사항을 안내하는 교육용 동영상과 가정통신문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장난삼아 사용하지 않고 실제 위급 상황에서만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에서 충분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현재까지 접수된 유괴 미수 의심 사건에 대해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며, 관련자들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 수서경찰서 관계자는 "신체적 접촉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으나 정확한 사건 경위 등을 묻기 위해 남성을 추적 중"이라며 "계속 유괴미수 이야기가 도니 신고가 잇달아 들어오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들은 2023년 4월, 대치동 학원가에서 발생한 '마약 음료'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 당시 일당은 '집중력 강화 음료' 시음 행사라고 속여 미성년자 9명에게 필로폰과 우유를 섞은 음료를 마시게 한 뒤 부모에게 연락해 돈을 요구했다. 주범은 2심에서 징역 23년을 선고받고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이러한 사건들이 반복되면서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학교와 경찰은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시민들도 주변에서 경고음이 들릴 경우 긴급 상황일 수 있음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